
Gradle Gradle이란? 그루비(Groovy) 기반의 빌드 자동화 오픈 소스 빌드 스크립트를 xml이 아닌 그루비(Grooby)로 작성한다. 그루비(Groovy)란?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언어인 DSL(Domain Specific Language) JVM 위에서 돌아가며 Java에 파이썬,루비 등의 특징을 얹었기 때문에 Java와 문법이 유사하다. Gradle wrapper를 이용하여 gradle이 설치되어있지 않아도 사용 가능(버전도 신경쓰지않아도 됨) 확장성이 뛰어나다. Gradle vs Maven Gradle의 Groovy 언어를 이용한 스크립트 작성 vs Maven의 xml 작성 Gradle의 주입 방식 vs Maven의 상속 방식 Gradle이 Maven보다 빌드속도가 더 뛰어나다. Gra..

ServletScope 서블릿에서 변수를 지정하고 객체에 담아 포워드 하려면 객체가 어디까지 유지되는지를 반드시 알아야 마음대로 변수를 가지고 놀 수 있을 것 이다... 서블릿 객체의 각 범위들을 공부해보자! Servlet Scope 서블릿의 스코프는 대략 이런 식으로 되어있다. JSP에서만 움직이는 Page Scope에서부터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아우르는 Application Scope까지 하나씩 알아보자. Page Scope JSP 내에서 로 선언되는 것은 해당 JSP 안에서만 사용 할 수 있는데 이런 개념이 Page Scope이다. 그래서 JSP의 지역변수처럼 활용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요청이 있을경우 PageContext내장객체의 변수는 JSP 안에서만 머물게 된다. 그러므로 포워드 ..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 (ServletConfig & ServletContext) 자주 변하는 데이터를 서블릿에 넣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서블릿 하나하나에 하드코딩을 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유지보수를 생각하면 옳지 않은 방법이다. 그리하여 선대(?) 개발자들은 DD(배포 서술자)에 변화하기 쉬운 데이터를 설정해주고 서블릿에서는 그것을 파라미터로 받게 만들었다. 이제 데이터가 변경될 때는 DD만 수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 방법에 대하여 공부해보자. ServletConfig 초기화 파라미터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하나 생성하려고 할 때 하나의 ServletConfig 객체를 만든다. 이 ServletConfig 객체를 이용하여 서블릿을 초기화 시켜줄 수 있다. 과정을 한 번 보자. 과정 서블릿이 만들어질 때..